경남 통영 지역을 여행하다가 고인돌을 만났다. 우연이라기 보다는 여행을 간김에 들렀다.
이 고인돌은 경상남도 통영시 봉평동 67번지의 해안에 남아 있는데 2기의 고인돌(支石墓)은 청동기시대의 분묘인 돌로 만든 무덤이다.
우리 나라의 고인돌은 축조 형식에 따라 탁자식 (卓子式), 바둑판식 (基盤式), 개석식 (蓋石式)의 3가지 형식으로 분류한다.
봉평동 고인돌은 아직 발굴을 실시하지 않아 구조나 껴묻거리 (副葬品) 등을 확인할 수는 없으나 외형상으로 보아 받침돌 위에 넓적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것이 전라 남도와 경상남북도 해안지방에서 흔히 볼 수있는 바둑판식 고인돌일 가능성이 높다.
이 지석묘는 2기가 다 덮개돌이 타원형에 가까운데 큰 것은 길이 270cm,너비 230cm, 두께 70cm이고,작은 것은 길이 265cm, 너비 215cm, 두께 60cm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