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3월 20일(화) 고인돌 굼, 治病기원 흔적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여성 생식기설 뒤집어 엄마 손이 약손 과 거의 같은 문화코드 굼 분석결과 당시 부족 세력권 6~10㎞ 고인돌 굼 현상은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설과는 달리, 치병 (治病) 흔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움푹 들어간 모양이 굼이다. 이융조 명예교수 정년논총 고인돌 굼 현상은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설과는 달리, 치병 (治病) 흔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밖에 청동기 시대 한 부족은 대략 6~10㎞ 정도의 세력 범위를 가졌던 것으로 조사됐다. 수원 숙지고등학교 우장문 교사가 최근 이융조 충북대 교수 정년 논총(한국 고대학회 최근호)에 경기지역의 고인돌에 새겨진 굼의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경기지역에는 임진강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