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 37

아시아의 거석문화와 고인돌

화순에서 2007년 12월 6일부터 8일까지 2박 3일간 아시아의 거석문화와 우리나라라는 주제로 학술대회가 개최되었다. 직장이 있어 토요일에만 참석을 해 보았는데 너무나 진지한 발표대회가 인상적이었다. 이러한 학술 대회를 개최한 동북아지석묘연구소의 이영문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우리나라 고인돌 연구의 앞날이 밝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면서도 젊은 학자들이 너무 선배 학자들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 않나 하는 아쉬움도 있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너무나 열심히 하고, 많은 자료가 탑재되어 있는 우리나라 고인돌 연구의 메카인 동북아지석묘연구소( http://www.idolmen.org/main.html)의 발전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국사 2007.12.09

고고학 관련 주요 도서 목록

고고학 도서 목록 韓國支石墓硏究 / 金載元, 尹武炳 共著 國立博物館 1967 韓國考古學槪說 / 金元龍 著 一志社 1973 考古學發達史 / Glyn Daniel 著 ; 金貞培 譯 高麗大學校出版部 1977 中國의 考古學 : 舊石器에서 鐵器時代까지 / 崔茂藏 著 電波科學社 1978 한국선사문화의 연구 / 이융조 著 평민사 1980 한국의 선사문화 - 그 분석연구 / 이융조 저 探求堂 1981 韓國靑銅器文化硏究 / 尹武炳 著 藝耕産業社 1987 비파형단검문화에 관한 연구 / 박진욱, 황기덕, 강인숙 공저 民族文化 1987 조선고고학전서 : 고대편 / 박진욱 저 民族文化 1988 韓國靑銅器時代文化硏究 / 全榮來 著 新亞出版社 1991 북한의 선사고고학, 1-3 / 백산문화 1992 韓國美術史 / 金元龍, 安輝濬 ..

국사 2007.06.30

굼(性穴) 관련 신문 자료

2007년 3월 20일(화) 고인돌 굼, 治病기원 흔적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여성 생식기설 뒤집어 엄마 손이 약손 과 거의 같은 문화코드 굼 분석결과 당시 부족 세력권 6~10㎞ 고인돌 굼 현상은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설과는 달리, 치병 (治病) 흔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움푹 들어간 모양이 굼이다. 이융조 명예교수 정년논총 고인돌 굼 현상은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설과는 달리, 치병 (治病) 흔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밖에 청동기 시대 한 부족은 대략 6~10㎞ 정도의 세력 범위를 가졌던 것으로 조사됐다. 수원 숙지고등학교 우장문 교사가 최근 이융조 충북대 교수 정년 논총(한국 고대학회 최근호)에 경기지역의 고인돌에 새겨진 굼의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경기지역에는 임진강 5..

국사 2007.03.26